CS_Developer
[Network Sec] #1 네트워크란? 본문
네트워크의 정의: 지역적으로 분산된 위치에서 컴퓨터 시스템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집합
네트워크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유선통신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선통신의 가장 대표적인 예를 모스의 전신기와 벨의 전화기이다.
모스의 전신기 (신호)
1800년경 볼타가 최초로 전지를 발명했다. 이후 전선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느린 통신에 불만을 가진 모스가(느린 통신으로 피해?를 본 모스의 일화는 검색하면 나온다.) 처음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이루어 냈다. 1832년 알파벳 문자에 점과 대시를 사용하여 모스 부호를 발명하였다. 1843년 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 전신기 선을 가설하였고, 1844년 첫 번째 공식 메시지가 전달이 되었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행하신 일이 어찌 그리 크뇨(민수기 23:23)이었다. 번외로, SOS는 모스부호로 '...---...'으로 표기한다고 한다. ^^
벨의 전화기 (신호가 아닌 음성)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전화기를 개발하였다. 벨을 미국 특허청에 전화를 특허로 등록했다. 1877년 상자 모양의 첫 전화기가 등장하였다. 이 전화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했다. 1878년 코네티컷의 뉴헤이븐에서 처음으로 교환기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전화가 중앙의 교환수를 거쳐 연결되었다. 우리나라는 1896년 궁내부 전화가 전화기의 효시이다. 1902년 서울과 인천 사이에 전화가 개설된다.
유선통신의 시초는 이것으로 마치고 더 궁금한 분들은 검색을 하면 금방 나올 것이다.
이제 무선통신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리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앞으로도 쭉 사용해야하는 것이다.
무선통신은 간단하게 말하자면 대기 중으로 전파되는 전자기파의 존재를 증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실제 통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었다.
전자기파의 발견
1864년 제임스 클럭 맥스웨링 전자기파가 대기 중으로 전파된다고 처음 예측하였다. 전자기장의 기초 방정식인 맥스웰 방정식을 도출하여 전자기파의 존재를 증명했다. 전자기파의 전차 속도가 광속도와 같고, 횡파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빛의 전자기파설에 대한 기초를 확립하게 되었다.
전파 이용의 시작
1888년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가 실험을 통해 라디오파를 주고받음으로써 전파의 존재가 실제로 입증되게 되었다.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전자기파를 실제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고, 마르코니를 무선 전신을 발전시킨 공로로 190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922년 BBC가 세계 최초로 음성 뉴스를 무선 방송으로 전송하게 되며, 일상 속에 스며들게 되었다.
여담으로 통신의 기본 전제 조건은 상호 간의 믿음으로 시작하게 된다.
드디어 우리가 공부하고자 하는 컴퓨터 통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모뎀의 개발과 네트워크의 시작
벨 텔레폰 연구소 (벨 연구소)의 조지 스티비츠가 전화 교환 회로를 '산술 기기'로 발전시킨 '모델-K' 기기를 개발했고, 후에 CNC로 발전하게 된다. 스티비치는 1940년 뉴욕의 CNC와 전화선으로 연결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시연했는데, 이것은 네트워크 컴퓨팅의 효시로 기록된다. 1958년 벨 연구소에서 최초의 상업용 모뎀인 데이터폰을 개발하였다. 미국 국방부는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한 고성능 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 1965년 세계 최초의 컴퓨터 네트워크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때 개발을 시작한 네트워크는 1969년 오늘날 인터넷의 모태가 된 ARPANET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여담으로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기술들은 전쟁으로 인해 많이 발전하게 되었다. 추후에 정보보호개론 관련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장거리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의 시작
1972년 빈트 서프와 로버트 칸이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다음 해인 1973년 빈트 서프는 로버트 칸과 함께 TCP/IP 프로토콜과 인터넷의 구조를 설계했다. 그렇다.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는 인터넷이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와 터미널로 구성된 네트워크는 IBM의 SNA망이 최초이다. 1974년 제록스가 이더넷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오늘날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전환된다. 다른 특이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위키나 IEEE를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렇다. 길고 지루한 내용이다. 필자도 공부를 하며 느낀다. 어떤 것을 배울 때 항상 역사를 배우게 되는데 그 시간이 항상 지루한 것 같다. 하지만 끝까지 읽은 여러분은 네트워크의 역사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어디 가서 '벨이 누구니?'라고 물으면 전화기를 만든 사람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보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Sec] #2 네트워크 보안: 개요 (0) | 2020.09.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