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8)
CS_Developer

이번 포스팅에서는 머신러닝에 대하여 이야기할 것이다. 참고 도서는 텐서플로 2와 케라스로 구현하는 딥러닝 2/e이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인공지능(AI)은 가장 큰 개념이다. 그 안에 머신러닝이 포함되고, 그 안에 딥러닝이 포함되는 구조이다. 우리는 이번 포스팅에서 머신러닝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최근에 머신러닝에 대한 논문이 급증하고 있다. 무어의 법칙 관련 논문보다 머신러닝 관련 논문의 개수가 많아진 추세이다. 따라서 우리는 머신러닝에 대해 공부할 필요성이 조금은 생긴 것이다. 최근 딥러닝 프레임워크의 사용 순위가 keras와 tensorflow가 1, 2위를 다투고 있다. 그 뒤를 PyTorch가 따른다. 따라서 포스팅에서는 텐서플로와 케라스를 이용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텐서플로 2..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의 전반적인 실행 알고리즘에 대해 작성할 것이다. 비트코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절차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믿음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믿음을 얻게 된다. 우리는 이번 글에서 tx를 추적하고, 합의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며, 어떤식으로 블록체인에 기록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의 그림은 비트코인이 어떤식으로 동작하고, 그 안에 유저에는 누가 존재하는지 나타내 주는 그림이다. wallet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중, 아래를 보면 miner가 존재하는 miner는 full-node client로 모든 tx에..

앞선 포스팅에서 우리는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을 조금 더 파고들어 보겠다. 비트코인의 구성요소 Bitcoin Protocol: 분산 형태의 P2P 네트워크 Blockchain: 공공의 tx 장부 Consensus Rules: 비트코인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는지에 대한 규칙 Proof-of-Work(PoW): 거래내역과 여러가지 기록들이 맞는지 합의하는 과정 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을 조금 더 알아보면, 앞선 포스팅에서 말했듯,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형태이다. 즉, 서버가 없다는 뜻이다. 또한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누구나 볼 수 있지만 수정은 할 수 없는 공공의 tx 장부가 존재한다. 이것은 쉽게 말하자면 데이터베이스 같은 것이다. 또한 일련의 규칙이 존재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을 시작할 것이다. 우선 간단히 블록체인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다.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ICT 기술의 융합을 통한 산업혁명으로, 초연결과 초지능 사회이다. 1차 산업혁명에서는 머신, 2차 산업혁명에서는 전자제품들, 3차 산업혁명에서는 컴퓨터, 그리고 현재이다. 초연결은 모든 기기와 모든 정보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초지능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인공지능과 연관이 되어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에는 10대 선도기술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WEF 클라우스 슈바프) 10대 선도기술에는 무인 운송수단, 3D 프린팅, 첨단 로봇공학, 신소재, IoT-원격 모니터링, 블록체인-비트코인, 공유경제, 유전공학, 합성 생물학, 바이오 ..

해당 포스팅에서는 정보 보안과 네트워크 보안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정보보안의 3요소와 추가 요소 기밀성 (Confidentiality) 무결성 (Integrity) 가용성 (Availability) 서버 인증 (Server Authentication) 클라이언트 인증 (Client Authentication) 주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묶어서 'CIA'라고 칭한다. 기밀성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핵심) 프라이버시 보호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비밀보장. 네트워크 보안의 측면에서 기밀성은 '시스템 간 안전한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있다. 스니핑(Sniffing)은 기밀성을 해치는 가장 일반적인 공격 행태이다. 통신의 암호화가 가장 일..

네트워크의 정의: 지역적으로 분산된 위치에서 컴퓨터 시스템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집합 네트워크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유선통신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선통신의 가장 대표적인 예를 모스의 전신기와 벨의 전화기이다. 모스의 전신기 (신호) 1800년경 볼타가 최초로 전지를 발명했다. 이후 전선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느린 통신에 불만을 가진 모스가(느린 통신으로 피해?를 본 모스의 일화는 검색하면 나온다.) 처음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이루어 냈다. 1832년 알파벳 문자에 점과 대시를 사용하여 모스 부호를 발명하였다. 1843년 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 전신기 선을 가설하였고, 1844년 첫 번째 공식 메시지가 전달이 되었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행하..
01. 웹과 JSP 프로그래밍 이해 인터넷과 웹은 대개 동의어로 사용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서로 다른 개념이다. 인터넷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전 세계의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웹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광범위한 정보와 서비스를 말한다. 즉, 웹은 서비스이다. 웹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공간이며, World Wide Web (www)의 줄임말이다. 기본적으로 웹은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으로 동작한다.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즉, 웹 브라우저가 특정 페이지를 웹 서버에 요청(request)하면 이를 웹 서버가 처리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어 응답(response)을 하..